아르바이트 급여 계산, 직원 급여 계산, 시급 계산, 일할 급여 계산

알바, 계약직, 단기근로 시 꼭 알아야 할 한달 미만 근무자 월급 계산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 막상 급여 받으려다 적어서 당황한 경험,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. 2025년 기준 정확한 계산 방법과 주의할 점을 알려드립니다.

1. 한달 미만 월급, 어떻게 계산할까?

근로계약을 했지만 근무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, 월급이 한달치 기준이 아니라 일할 계산으로 지급됩니다.

  • 월급제 근로자라도 1달 미만 근무 시 일할 계산
  • 기준: 월의 유급근무일수를 기준으로 나눔
  • 유급휴일(주휴일 등) 포함 여부 중요

2. 일할 계산 기준, 1일 통상임금 산정법

1일 통상임금 = 월급 ÷ 월 유급일수

'월 유급일수'란, 유급근로일수와 주휴일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. 보통 4주 기준 5일제 근무 시 월 23~25일 정도입니다.

3. 주휴수당은 받을 수 있을까?

주휴수당은 1주 소정근로일수 개근 시 발생합니다.

주휴수당 지급 기준
조건 주휴수당 지급 여부
1주 15시간 이상 근무 ✅ 지급
1주 15시간 미만 근무 ❌ 미지급

4. 예시로 보는 한달 미만 월급 계산법

예시1. 월급 2,400,000원, 5일 근무, 4월 30일 기준 → 2,400,000 ÷ 30 × 5 = 400,000원

예시2. 시급 10,000원, 하루 8시간, 1주 5일 근무, 총 10일 근무 → 하루 80,000원 × 10 = 800,000원 (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변동 가능)

5. 헷갈리기 쉬운 실수 Q&A

Q. 월급제인데 하루만 근무해도 일할계산인가요?
👉 네, 한달 미만이면 무조건 일할계산입니다.

Q. 주휴수당은 하루만 일해도 주나요?
👉 ❌ 1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개근 시만 지급입니다.

Q. 계약서에 "월급제"라고 되어 있는데 왜 일할계산이죠?
👉 월급제라도 1개월 미만 근무 시 일할계산 원칙입니다.

6. 꼭 기억할 포인트 및 결론

  • 한달 미만 근무 시 월급제라도 일할계산
  • 1일 통상임금 = 월급 ÷ 유급근로일수
  • 주휴수당 여부 = 1주 15시간 이상 + 개근 여부 확인
  • 계약서 확인 + 근무일수 체크 필수!

근무 시작 전 계약서 내용과 계산법 미리 확인하세요. 알바나 단기근무 시 불이익 없이 정확한 급여 받기 위해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.

키워드: 한달미만 월급계산법, 일할계산, 단기근로 급여, 주휴수당, 2024 월급제 계산


[2025년 최저임금 기준 직원급여 일할계산, 알바급여일할계산기,시간당 급여계산]
[#아르바이트급여계산,#직원급여계산,#시급계산,#일할급여계산]